I have to do this because this is not me speaking, this is the people who wanted to tell the world what they want to say.
North Korea is an unimaginable country, there is only one channel on TV, there is no internet, we aren't free to sing, say, wear or think what we want. North Korea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hat executed people for making unauthorised international phone calls. North Korean's are being terrorised today. When i was growing up in North Korea I never saw anything about love stories between men and women. No books, no songs, no press no movies about love stories. There is no Romeo and Juliet, every story was propaganda to promote the Kim dictators.
I was born in 1993 and I was abducted at birth even before I knew the words freedom or human rights. North Koreans are desperately seeking and dying for freedom at this moment. When I was 9 years old I saw my friends, mother publicly executed, her crime watching a hollywood movie Expressing doubt about the greatness of the regime can get three generations of a family imprisoned or executed. When I was four years old, I was warned by my mother not to even whisper, the birds and mice couldn't hear me. I admit it: I thought the North Korean dictator could read my mind. My father died in China after we escaped North Korea and I had to bury him, at 3 a.m in secret. I was 14 years old. I couldn’t even cry. I was afraid to be sent back to North Korea. The day I escaped North Korea, I saw my mother raped. The rapist was a Chinese broker. He targeted me. I was 13 years old. There is a saying in North Korea: “Women are weak, but mothers are strong.” My mother allowed herself to be raped in order to protect me. North Korean refugees about 300,000 are vulnerable in China. 70% of North Korean women teenage girls are being victimised, sometimes sold for as little as $200.
We walked across the Gobi desert, following a compass, when that stopped working we followed stars to freedom. I felt only the stars were with us. Mongolia was our freedom moment. Death or dignity. Armed with knives, we were prepared to kill ourselves if we were going to be sent back to North Korea. We wanted to live as humans.
People often ask me: How can we help North Koreans? There are many ways, but I would like to mention three, for now. One, educate yourself so you can raise awareness about the human rights crisis in North Korea. Two, help and support North Korean refugees who are trying to escape to freedom. Three, petition China to stop repatriation. We have to shed light on the darkest place in the world. It isn’t just North Korean human rights it's our rights that the North Korean dictators have violated for seven decades. We nee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o put more pressure on China, to stop repatriation. In particular, Chinese delegates of One Young World can play a part by speaking out.
North Korea is indescribable. No humans deserve to be oppressed just because of their birthplace. We need to focus less on the regime and more on the people who are being forgotten. One One Young World, we are the ones who will make them visible. Fellow delegates, please join me as we make this a global movement to free North Koreans.
When I was crossing the Gobi desert, scared of dying, I thought nobody in this world cared. It seemed that only the stars were with me. But you have listened to my story. You have cared, thank you very much.
- Yeonmi Park, One Young World 2014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선교사님을 통해 복음과 복지에 사용된 선교비는 2020년 대비, 2021년 83.3% 증가 하였습니다.
우리는 재정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가장 낮은 곳으로 흐를 때 가장 아름답다고 믿습니다. 굶어 죽어가는 이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양식이, 죽음에 이르기까지 핍박받는 이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자유가 전해질 때 너무나 소중한 한 영혼이 생명을 입습니다.
환경적인 자유와 궁핍하고 열악한 환경의 개선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 자유와 좋은 환경은 그냥 주어진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훨씬 이전 세대부터의 복음과 피와 눈물과 땀으로 그리고 희생으로, 아름답고 의로운 세상을 만들려는 노력과 그 노력의 결과로서 얻어진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의 노력과 희생을 통해 복음과 자유와 좋은 환경이 전해지고 만들어지고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perseverance)
이러한 자유와 좋은 환경 안에서, 혹은 이러한 자유와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비록 내가 가진 것이 작은 것일지라도 복음을 위해, 복음을 통해, 성경의 가치가 넘쳐나는 더 나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어떠한 희망을 바라보고 무엇인가 도전해 볼 수 있다는 것은 참으로 기쁘고 즐거운 일임은 분명합니다.
환경적으로 자유가 없고 궁핍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우리는 몇일을 살아가기 위해 굶주림에 대비하여 에너지바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맞습니다. 에너지바를 미리 준비한다면 굶주림과 굶주림에 대한 걱정에서 어느 정도 자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경적인 자유와 궁핍하고 열악한 환경의 개선이 완전한 자유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에너지바가 있으나 없으나 똑같이 평안 (the peace of God which transcends all understanding) 할 수 있는 더 깊은 자유를 알려줍니다. 하나님만으로 충분하고 하나님만으로 기뻐할 수 있는 자유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그 진리가 우리를 온전히 자유케 합니다. 죽음은 언젠가 반드시 찾아 옵니다. 지금일 수도 있고 먼 훗날 일 수도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이 깊은 자유와 평강 안에서 환경적인 자유를 포함하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더 아름답게 만들어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성경의 가치와 그 기준은 정치, 경제, 사회, 윤리, 도덕, 문화 등 삶의 모든 분야에서 탁월하며 성경의 가치가 풍부하고 그 기준이 잘 지켜지는 세상은 아름답습니다. 우리가 성경에 기록 된 예수 그리스도, 그 진리를 전해 받고 알게 되었다면 그 진리를 따라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의 모습은 매우 중요합니다. 진리의 말씀을 따라 살아갈 때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닮아갈 것이고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들의 모습이 세상에 빛과 소금으로써, 모범으로서, 우리 스스로와 우리로부터 진리를 듣는 이들을 구원에 이르게 할 것입니다.
개인과 지역 사회와 모든 나라가 의와 믿음과 화평과 사랑으로 가득한 곳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우리가 성경 말씀을 따라 살며 복음을 올바르게 전하면 우리 사회의 복지는 자연스럽게 실현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는 사랑과 생명과 긍휼과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성경 말씀을 따라 사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예수님을 닮은 사람이 많아지고, 예수님을 닮은 사람이 많아질수록 선한 일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선한 일을 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하나님의 능력으로 선한 사업을 하는 사람 역시 많아지고, 하나님의 능력으로 선한 사업을 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하나님의 은혜가 넉넉하니, 우리 사회의 복지는 자연스럽게 실현됩니다.
인본주의적인 복지와 성경 말씀을 따라 살지 않는 삶의 모습으로 전하는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 진리를 올바르게 전할 수 없습니다.
성경 말씀을 따라 사는 삶의 모습으로 전하는 복음일지라도 하나님을 경외 (fear of God) 하지 않는다면 이 역시,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 아닌 자신과 특정 집단을 위한 이익의 방도로 전락합니다.
이는 하나님이 아닌 나 자신과 자신이 속한 특정 집단의 의로움을 내세움으로써 하나님께서 마땅히 받으셔야 하는 영광을 가리고 자신과 자신이 속한 특정 집단이 하나님의 영광을 취하는 것을 뜻합니다. (God can't stand pious poses)
성경에 잘 기록되어 있듯이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나의 모든 삶이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향기로운 제사로써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하나의 전도지가 되어 나의 생각, 판단, 결정, 말, 태도, 습관, 성품, 일 등 나의 모든 것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만을 온전하게 나타내는 것입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내가 성경 말씀을 모르거나 성경 말씀을 지키지 않고 단순히 말로만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이 아닙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성경 말씀을 잘 알고 잘 지킨다 할지라도 자신의 이름, 자신의 교회, 자신의 단체 등 예수 그리스도가 아닌 다른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닙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나를 구원하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말씀과 하나님의 거룩한 영을 삶에서 그 어떠한 가치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입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복음을 전해 받은 자가 복음을 전해 준 나에게나 내가 속한 단체에게 영광 돌리는 것이 아닙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성경 말씀을 따라 살아낸 나의 착한 행실을 통해 빛을 비추어 복음을 전해 받은 자가 하나님께 영광 돌릴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한 영혼을 하나님 앞에 바르게 세우는 것입니다. 인본주의적인 인내, 친절, 복지를 뜻하지 않습니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내가 누군가에게 단 한 가지만을 남겨 놓고 떠나야 한다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만을 남겨 놓는 것입니다.
성경에 기록된 전도자들의 모습처럼 우리도 온전한 모습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전할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로서 교회 안과 밖의 어떠한 비성경적인 모습의 문제에 대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의로움으로 우리 스스로가 온전하게 지키는 부분에 있어서 그렇지 않은 자들을 향해 단호하게 비판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다른 어떠한 부분에 있어서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분량에 비추어 볼 때 우리도 부족함이 많은 작은 자이고 죄인이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가 온전히 지키는 한 부분에만 국한되어 그렇지 않은 자들을 향해 단호하게 비판하기 보다는 함께 서로를 측은히 여기며 스스로가 온전히 지키는 부분에 있어서 온전한 모범으로써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해결책을 따듯한 태도로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 해결책은 무지함 (about 'honor God`s commands') 과 안주함 (complacency) 그리고 죄와의 타협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무지함과 안주함 그리고 죄에서 나와 죄를 경계하고 죄와 사망으로부터 자유하며 삶이 변하고 점점 더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데 (for sanctification) 도움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러함으로써 얻어지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평안은 하나님의 선물이자 은혜입니다.
이 해결책 중에 하나는 우리가 언제 어디서나 항상 할 수 있는 '기도'입니다.
우리가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은 문제를 다루는 방법과 문제를 대하는 태도이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닙니다.
옳고 그름, 성경에 기록된 기준과 가치는 변하지 않습니다. 언제나 옳습니다. (consistent, never change, tried-and-true) 분명하게도 죄는 죄이고, 죄의 대가는 사망입니다. 우리는 진리를 거슬러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오직 진리를 위할 뿐입니다.
우리가 진리 안에서 살아가면서 세상으로부터 나의 비성경적인 삶의 모습 때문에 책망 받을 일이 있다면 세상을 살아가는 작은 한 사람으로써 성경 말씀을 따라 살아내지 못한 나의 부족함 때문이며 나의 연약함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삶과 예수님의 가르침과 예수님의 말씀이 온전하지 못해서가 결코 아닙니다. 세상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로서 나의 삶의 모습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지 못한 것에 대해 반성하고 나를 용서하시고 의롭다 불러주시는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다시금 기쁨으로 성경 말씀을 따라 살아가는 거룩한 책임을 우리가 다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우리가 진리 안에서 살아가면서 나의 매우 작은 부분일지라도 세상으로부터 성경적인 삶의 모습 때문에 칭찬 받을 일이 있다면 나로 인함이 아닌 오직 주로 인하여 하나님의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알게 되었고 예수님의 가르침인, 성경 말씀을 따라 살아 낼 수 있었기에 나의 행함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온전함임을 고백하고 주님께 감사하며 영광 돌리기를 소망합니다.
오늘도 읽는 성경에서 우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비난 받거나 비판 받아야 하는 이유를 도저히 찾을 수가 없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높임을 받기에 합당하십니다.
우리는 내슈빌 선언 (Nashville Statement, 2017) 에 동의 합니다. 동성애 뿐만 아니라 모든 성적 부도덕성의 죄 안에 있는 자들이 죄에서 나와 죄를 경계하고 죄와 사망으로부터 자유하며 삶이 변하고 점점 더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갈 수 있도록 (for sanctification) 장기적으로 우리 모두가 함께 온전히 세워져 갈 수 있는 실제적인 (down to earth)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전세계 어린이들이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 (Lord's Prayer) 를 외우고 예수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 안에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리며 매일 스스로 성경을 읽고 성경을 외우고 하나님을 경외하며 (fear of God) 성경대로 기도하고 말씀을 따라 살아가는 그날까지 어린이들의 곁에 'believe' 가 함께하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우리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께로부터 난 의로 (the righteousness only comes from God) 우상을 만들지 말고, 우리 스스로 우상이 되지도 말고 구원의 주시며 이 모든 것을 삶을 통해 보여주시고 말씀으로 알려주신 예수 그리스도를 날마다 더욱 더 본받기를 소망합니다.
복음을 전하는 자와 듣는 자, 도움을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 오직 우리 주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한 분께 한 마음으로 감사하며 우리의 이름이 아닌 - 어떠한 개인의 이름이 아닌, 어떠한 교회의 이름이 아닌, 어떠한 단체의 이름이 아닌 - 그리스도 예수의 이름만이 온전하게 남기를 소망합니다.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그리스도 예수의 이름만이 영원히 기억 될 것입니다.